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
Kafka 카프카란? pub-sub 모델의 메세지 큐 분산환경에 특화되어 설계되어있어, 다른 메세지 큐에 비해 성능이 우수함 pub-sub 모델이란? 발행(publish)/구독(subscribe)을 의미한다. 공급자와 구독자로 구분된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급자는 누가 받을 지 신경쓰지 않고 내가 보내는 곳에 데이터를 전송하기만 하면 된다.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독자는 내가 받을 데이터 장소를 지켜보고 있다가, 그 곳에 오는 데이터를 가져오기만 하면 된다. 잡지, 신문 구독과 같은 개념이다. 잡지사나 신문사는 내가 쓴 글을 특정 토픽(잡지사/신문사)에 발행하면, 그 토픽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해당 잡지사나 신문사를 구독하여 매달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받아보는 구조로 생각하면 된다. 키워드 producer, consum..
인프라 구성관리 툴 Bootstrapping : OS 시작을 자동화 서버 OS 를 설치, 가상 환경 설정, 네트워크 구성 설정 등 Vagrant Configuration : OS 나 미들웨어의 설정을 자동화 OS 설정, 각종 미들웨어 설치 및 설정 Ansible, Chef, Puppet Orchestration : 여러 서버 관리를 자동화 Kubernetes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의 사실 살 표준(de facto standrad). 줄여서 k8s 라고도 부름. https://futurecreator.github.io/2018/11/09/it-infrastructure-basics/ 개발자를 위한 인프라 기초 총정리 최근 클라우드 관련 부서로 옮겨 클라우드 관련 업무를 맡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개발은 했어도 인프라 지식은..
[펌] 공룡책으로 정리하는 운영체제 https://parksb.github.io/article/5.html 🦕 공룡책으로 정리하는 운영체제 Ch.1 Overview parksb.github.io ch1. Overview What Operating Systems Do Computer-System Organization Storage Structure I/O Structure Direct Memory Access Structure Computer-System Architecture Operating-System Structure Operating-System Operations Dual-Mode and Multi-Mode Operation Timer Process Management Memory Management Storage Managem..
[펌] TCP 연결종료 https://ozt88.tistory.com/19?category=123069 TCP의 연결 종료 TCP의 단절 감지 : 유령 세션 1. 유령 세션이란? 서버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세션이 네트워크 단절되었는데도 제대로 연결해제가 되지 않아서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를 유령세션이라고 한다. 제대로 접속해제가 되지.. ozt88.tistory.com 키워드 4-ways-handshake 리니지의 랜선버그 SO_KEEPALIVE 옵션 LINGER 옵션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 Graceful-Shutdown 같이보면 좋은 글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ringmelove1&logNo=119144741&proxyReferer=https%3A%2F%2Fwww.goo..
3Way-Hand Shaking vs 4Way-Hand Shaking TCP는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인 접속/해제 를 성립하기 위해 일종의 약속을 정해두었다. 3way - Handshaking TCP/IP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세션 연결을 수립하는 과정을 말한다. 양쪽 모두 데이터를 전송 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보장하고, 실제 데이터를 전달하기 전에 다른쪽이 준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양쪽 다 상대편에 대한 초기 순차 일련번호(SYN)를 얻는다. 1. client에서 접속을 요청하는 SYN(a)을 전송하고 SYN_SENT 상태로 대기한다. 2. server는 SYN을 받으면 SYN_RECEIVED 상태로 변경하고 SYN(b)+ACK(a+n)를 보내 연결 요청을 수락한다. 3. client는 SYN..
SSH vs SSL SSL 풀네임 Secure Socket Layer. 말 그대로 암호화 소켓 계층이다. 즉, TCP/IP 소켓통신 할 때 암호화 한 데이터로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 계층? 이라고 할 수 있다. OpenSSL은 이러한 SSL을 만들고 관리하고 없애는 등 소켓통신할 때 SSL 환경을 적용시키는 함수를 제공한다. End-User용 프로그램이 아닌 프로그래머들이 주로 이용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SSH 풀네임 Secure SHell. 말 그대로 암호화 쉘이다. Linux나 Unix 환경에서 원격으로 접속할 때 원래는 Telnet으로 접속을 했었다. Telnet으로 접속했다는 뜻은 원격 pc에 Telnet server가 설치되어있고, 내 pc에는 Telnet client가 설치되어 있으면 Telnet cli..
암달의 법칙 (Amdahl's Law) 연산의 병행 처리로 연산 속도를 얼마나 올릴 수 있는지 계산하는 데 쓰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병렬처리를 아무리 많이 해도, 직렬처리 해야하는 일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체 일 수행시간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즉, 암달의 법칙은 컴퓨터 시스템의 일부를 개선할 때 전체적으로 얼만큼의 최대 성능 향상이 가능한지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법칙이다. 어떤 시스템의 P만큼의 부분에서 S만큼의 성능 향상시키는 개선을 했을 때, 전체 시스템에서의 최대 성능 향상은 아래와 같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 참조.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junhyuk&logNo=40045904424&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